독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0 요약#5

최문경 블로그 2021. 7. 18. 17:00

도가: 도리와 덕성

역사적 배경

신화와 역사의 경계는 어디인가

 

 

노자의 생애와 사상

탈속의 철학자

 

 

도덕경의 내용

우주의 질서와 내면의 질서

 

 

중간 정리

노자의 사상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점은 그의 사상이 독특하거나 특수한 무엇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에서 노자 사상은 일반적으로 인위를 거부한 무위의 삶에 대한 추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론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가 왜 인위가 아닌 무위를 추구했는가에 있다. 그것은 노자가 우주의 질서와 내면의 질서를 일치시키고자 했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음에 집중한 것이 아니라, 내면에서 우주를 발견할 것을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노자의 사상은 범아일여의 가르침과 같은 선상에 있다.

 

물론 그의 거대 사상과 가르침도 어떤 면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그것은 <우파니샤드>가 처했던 한계와도 유사하다. 즉, 탈속을 추구함으로써 세속의 가치를 소홀히 한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요구 속에서 또 다른 위대한 스승이 등장했다. 바로 현실에 발 딛고 있던 공자다.

 

 

노자와 공자의 만남

두 가지 삶의 태도

 

노자와 공자는 혼란한 세상이라는 공통분모 위에 발 딛고 있었지만, 그것에 대응하는 방법은 정반대였음.

노자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그곳에서 떠나고자 했다면

공자는 그곳을 바꾸고자 함.

다시 말해 노자는 인위적 개입의 헛됨을 깨닫고 초월적 가치로 나아가고자 했다면, 공자는 인위적 개입을 통해 세상을 바꾸려는 현세적 가치를 추구한 것.

 

 

공자의 생애와 사상

세속의 철학자

 

 

논어의 내용

인간 사이의 실천 덕목

 

 

공자와 노자의 차이

혼란을 멈추는 방법

 

노자가 도와 덕에 대해 다루고 있다면 공자는 덕에 집중.

노자는 우주 전체의 근본 원리와 그것의 반영으로서의 인간의 행위를 다루는 데 비해

공자는 사회, 정치의 구체적 현실 속에서의 인간 행위에 초점을 맞춤.

 

 

외래 종교의 유입

불교의 등장

 

도가와 유가의 현세적인 가르침은 많은 사람을 만족시켰지만, 일부의 사람들은 만족하지 못함.

현생 너머를 보고자 하는 사람. 죽음 이후의 문제에 천착하고 영적인 문제의 답을 구하려는 사람들.

이 때 등장한 대안이 불교.

 

외래 종교인 불교가 중국에 들어오고 오랜 시간 동안 도가, 유가와 함께 동아시아의 3대 사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도가와 유가가 제시하지 못한 세계를 제시했기 때문.

 

 

신유학의 세계관

일원론으로의 귀결

 

주돈이의 사상은 우주 근원으로부터 인간 본성까지를 통합적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우리가 앞서 알아본 <베다>의 범아일여나 노자의 도덕을 떠오르게 함. 일원론적 사고방식은 서로 다른 역사와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등장. 왜 반복될까?

이 물음을 간직하고 다음 장으로 넘어가 보자.

 

 

최종 정리

네 번째 장이 끝났다. 춘추전국시대에 이으러 정치 사회적 혼란이 극에 달했고 이러한 혼란 속에서 위대한 스승들이 탄생했다. 노자와 공자. 그들이 가졌던 근본 물음은 동일했다. 어떻게 이 고통과 혼란을 멈출 것인가. 다만 그 해결 방안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우리는 이제 동양 사상의 마지막으로 불교를 알아보려 한다. 이 심오한 사상을 통해 동양 사상 전체를 관통하는 거대 사상으로서의 일원론의 실체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